반응형
CSS
스타일과 스타일 시트
- 스타일 시트: 여러 개의 스타일을 모아 놓은 것
- 스타일 종류
- 브라우저 기본 스타일
- 인라인 스타일
- 내부 스타일 시트
- 외부 스타일 시트
CSS 기본 선택자
- 전체 선택자
- 브라우저 기본 스타일을 초기화할 때 많이 사용 💡
-
* { margin: 0; padding: 0; }
-
- 브라우저 기본 스타일을 초기화할 때 많이 사용 💡
- 타입(태그) 선택자
-
p { color: blue; }
-
- class 선택자
- 문서 안에서 여러번 사용.
- 앞에 마침표를 사용
-
.redtext { color: red; }
- id 선택자
- 문서 안에서 한 번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고유성을 가짐.
-
#container { border:1px solid #222; padding:10px; }
- 그룹 선택자
- 선택자를 그룹으로 묶어서 나타낼 수 있다.
-
h1, p { color: blue; }
캐스케이딩 스타일 시트
- 캐스케이딩의 의미
- 캐스캐이딩(Cascading):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는 뜻. 즉 계단식으로 적용된다는 의미로 사용.
- 선택자에 여러 스타일이 적용될 때 스타일 충돌을 막기 위해 우선순위에 따라 적용할 스타일을 결정함.
- 스타일 충돌을 막는(캐스캐이딩)의 원칙
- 스타일 우선순위 - 스타일 규칙의 중요도와 적용 범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되고 그 우선순위에 따라 위에서 아래로 (계단식으로) 스타일 적용
- 스타일 상속 - 태그들의 포함 관계에 따라 부모 요소의 스타일을 자식 요소로, 위에서 아래로 전달
- 원칙 1: 스타일 우선순위 ★
- 얼마나 중요한가에 따라
- 사용자 스타일(시스템에서 만든 스타일. windows, mac 등. 사용자가 제어할 수 없음)
- 제작자 스타일(웹 사이트를 만들 때 제작자가 만든 스타일)
- 브라우저 스타일(브라우저의 기본 스타일)
- 얼마나 한정 지을 수 있는가에 따라
- !important - 어떤 스타일보다 우선 적용되는 스타일
- 인라인 스타일 - 해당 태그에만 적용되는 스타일
- id 스타일 - 특정 부분에만 적용되는 스타일. 문서 안에서 한 번만 사용됨.
- 클래스 스타일 - 특정 부분에만 적용되는 스타일. 문서 안에서 여러 번 사용됨.
- 타입 스타일 - 특정 태그에만 적용되는 스타일. 문서 안의 같은 태그에 모두 적용됨
- 소스 순서에 따라
- 중요도와 명시도가 같다면 소스 순서에 따라 결정.
- 소스에서 나중에 온 스타일이 먼저 온 스타일을 덮어씀.
- 얼마나 중요한가에 따라
- 원칙 2: 스타일 상속
- 자식 요소에서 별도의 스타일을 지정하지 않으면 부모 요소에 있는 스타일 속성들이 자식 요소로 전달됨.
- 상속을 이용하면 스타일 시트를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다.
- 주의할 것은 스타일의 모든 속성이 부모 요소에서 자식 요소로 상속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ex. 글자 색은 상속되지만 배경 색은 상속되지 않음)
Referenc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