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loud

뉴로 클라우드 vs 프라이빗 클라우드 vs 퍼블릭 클라우드 비교

반응형

☁️ 퍼블릭 클라우드 vs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vs 프라이빗 클라우드 비교

퍼블릭 클라우드 (Public Cloud)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Hybrid Cloud) 프라이빗 클라우드 (Private Cloud)

정의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AWS, Azure, GCP, NCP 등)가 운영하는 다중 테넌트 환경 퍼블릭 클라우드 +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함께 사용하는 방식 특정 기업/기관이 단독으로 운영하는 전용 클라우드
소유권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소유 및 운영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조합하여 운영 기업/기관이 소유 및 운영
운영 장소 퍼블릭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데이터센터 퍼블릭 클라우드 +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 온프레미스 또는 전용 데이터센터
보안 수준 보안 강화 가능하지만 다중 사용자 환경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결합하여 보안 강화 가장 높은 보안 수준 (완전한 독립 운영 가능)
유지보수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담당 일부 기업이 관리해야 함 기업 내부 IT팀이 직접 운영 및 유지보수
확장성 높은 확장성 (필요 시 리소스 즉시 추가 가능) 확장성은 퍼블릭 클라우드에 의존 제한적 (사전에 구축된 인프라 내에서만 확장 가능)
비용 사용한 만큼 비용 지불 (OPEX) 혼합형 (OPEX + CAPEX) 초기 투자 비용(CAPEX) 높음, 장기적으로 비용 절감 가능
사용 사례 스타트업, 중소기업, 웹 서비스, 글로벌 기업 금융, 제조, 헬스케어, 공공기관 금융, 공공기관, 기업 내부 데이터 보호 필수 환경
예시 AWS, Azure, GCP, 네이버 클라우드 (NCP) AWS Outposts, Azure Stack, 네이버 뉴로 클라우드 온프레미스 데이터센터, 기업 전용 클라우드

클라우드 유형 선택 기준

요구사항 추천 클라우드 유형

초기 비용 절감, 빠른 확장성 퍼블릭 클라우드
보안과 확장성 균형 유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최고 수준의 보안, 데이터 주권 보장 프라이빗 클라우드

🔹 결론

  • 퍼블릭 클라우드: 확장성이 뛰어나고 초기 비용이 적어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에 적합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퍼블릭의 확장성과 프라이빗의 보안을 함께 활용해야 하는 기업에 적합
  • 프라이빗 클라우드: 보안이 중요한 금융, 공공기관, 대기업의 내부 시스템에 적합

💡 퍼블릭은 비용 절감 & 확장성, 프라이빗은 보안 & 데이터 주권, 하이브리드는 그 중간점! 🚀

반응형